la belle noiseuse #양화감상 #미장센 #영화미술1 플라워 앤 스네이크, 예술 영화, 그림 속에 숨겨진 인간의 감정 여정따라가기 [오래된 아틀리에에서 태어난 시간의 초상: 「La Belle Noiseuse」 미장센 심층 분석]자크 리베트의 4시간짜리 대작 「La Belle Noiseuse」를 미장센 관점에서 분석한다. 자연광·로케이션 세트·롱테이크·소리의 물성을 통해 ‘노장 화가’와 ‘젊은 모델’의 응시, 창작의 윤리, 신체와 그림 사이의 긴장을 읽는다. [핵심 키워드]라벨 누아즈즈 미장센 / 자크 리베트 분석 / 아틀리에 공간 / 자연광 조명 / 롱테이크 구도 / 예술과 응시의 윤리1) 프롤로그 : 작품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시간’을 찍다리베트는 완성된 그림보다 그림이 ‘생기는 동안의 시간’을 영화의 주인공으로 세운다. 이때 미장센은 배경 장식이 아니라 작업의 조건 자체가 된다. 아틀리에의 공기, 종이·캔버스의 질감, 목재 바.. 2025. 9. 13. 이전 1 다음